2010년 5월 20일 목요일
천안박물관 제3기 역사문화대학
4회차 강좌-한국불교회화의 전개-
청원군립대청호미술관 학예사 장희정 강사로 부터 우리 불교회화의 전개에 대한 설명을 듣고
그 내용을 요약한다.
불교회화는 불교와 관련된 내용을 다룬 회화 분야이다.
불화(佛畵)는 경전의 내용을 도해하거나, 부처님의 존상을 기린다거나, 여러 보살, 신중, 제자 등의 존상을
주제로 삼는다.
여기에는 강한 종교적 색채 외에도 회화적 기교가 가미되며,
예술성과 시대적 특징이 나타나고,
제작자들의 작가로서의 역량이라든지 시주자(施主者)들의 사회적 신분이나 제작동기등이 드러나기 때문에
예술성, 신앙성, 사회성, 시대성 등이 포괄적으로 나타나는 매우 폭넓은 분야라고 할 수 있다.
삼국시대(신라)-고분벽화
고려-사경화(寫經畵), 권축화(卷軸 畵)
조선-사찰 봉안용 탱화
권축화(卷軸 畵)-둘둘 말아서 과관할 수 있는 그림
탱화(幀畵)-걸이그림. 후불도
불교미술의 일종으로 천에 그림을 그려 벽에 거는데, 맨 위에 걸끈을 매달아
옮겨 걸고 접을 수 있도록 한 것. 권축화(卷軸 畵)로 발전하는 과도기적 형식이다.
부처님 전생(前生)을 묘사한 본생도(本生圖)
장천1호분 불상예배도-두 손모아 선정인-초기 불상도의 특징
신선은 죽지 않음
학-도교적
사신도-선인상
통구5호분
수인씨-불
신농씨- 씨
인동당호문-무령왕
사신도-동서남북 네가지 신성시되는 동물
향-모든 혼탁한 기운을 사른다.
불교의 최고 이상향-수미산
부처님의 전신
부처님의 본생-80년(35세에 성도, 45년간 교화)
부처님의 전생 이야기-본생담
부처님의 전생 이야기 그림-본생도
통일신라-사실적 회화(솔거의 노송도)
신라백지묵서대광불-화엄경변상도
화엄경-비로자나불
법화경-석가모니
고려불화의 특징-정교 화려. 회화재료는 금
도상(圖像)-아이콘
현존 고려불화는ㄴㄴ 대부분 후기에 집중
소의경전(所衣經典)
모공으로부터 많은 부처가 나온다.
화엄경변상도
변상도-부처님의 일대기 또는 불교설화에 관한 여러 가지 내용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을 변상도(變相圖)라고 한다. 변상이란 변현(變現)된 모습이라는 뜻으로 부처님의 본생, 혹은 정토 등의 모습을 그린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석가부처님의 일생을 여덟 장면으로 압축하여 표현한 것을 팔상도(八相圖)라고 하는데, 하나로 고정된 장면이 아니라 세월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는 모습을 그린 것이므로 변상도의 하나라고 보면 된다.
3신불-비로자나불, 노사나불, 석가모니불
노사나불-장엄불
석가모니불-현신불
3존불-비로자나불, 문수, 보현
고려 봉건주의-불화에 나타남
비로자나불의 협시는 문수 보현
아미타불의 협시는 관세음, 대세지또는 지장
석가모니불의 협시는 문수 보현
아미타-무량광(無量光)
아미타신앙-죽음에 대한 공포 해소
정토삼부경-무량수경, 관무량수경, 아미타경
관무량수경 서분변상도
관무량수경은 인도 마가다 왕국의 왕사성(王舍城)에서 일어난 부자사이, 즉 빈비사라왕(頻毘沙羅王과) 아들인 아사세, 그리고 왕비인 위제희 세 사람 사이에서 일어난 비극적인 사건의 원인과 구제의 과정을 담고 있다.
한 화면에 주인공으 다각적으로 출현
관경 16관 변상도
참선법, 명상법-아미타경
아미타내영도(阿彌陀來迎圖)-고려불화 중 아미타여래를 표현한 작품이다. 서방극락 세계로 오는 중생들을 적극적으로 맞이하는 장면을 표현한 것이다
약사여래도-약사경이 소의경전, 협시로 일광보살, 월광보살
믹륵여래도-미래불. 미륵경이 소의경전
열반도
관음보살도
수월관음도
대형 태극기가 걸린 천안박물관
관무량수경은 인도 마가다 왕국의 왕사성(王舍城)에서 일어난 부자사이, 즉 빈비사라왕(頻毘沙羅王과) 아들인 아사세, 그리고 왕비인 위제희 세 사람 사이에서 일어난 비극적인 사건의 원인과 구제의 과정을 담고 있다.
아미타신앙(살아서는 장수하고 죽어서는 극락왕생하고자 하 것)은 정토삼부경, 아미타경, 무량수경등에 의해 성립된 신앙으로 이들 정토삼부경 가운데 가장 발달한 것이 관무량수경이며, 그 내용을 회화화한 것이 바로〈관경변상도〉이다.
땅의 덕 미화
까까머리. 성문형
나한도
아난-젊게 묘사
가섭-노인으로 묘사
'자료실 >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안지역의 석조문화재 (0) | 2010.06.03 |
---|---|
분청사기 (0) | 2010.05.28 |
조선시대의 초상화 (0) | 2010.05.06 |
천안박물관 역사문화대학 개강 (0) | 2010.05.01 |
진해당(振海堂)주련(柱聯) (0) | 2010.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