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5월 6일 목요일
천안박물관의 역사문화대학 제2회 강좌로 10시부터 12시 까지 들었다.
오늘은 문화재청 문화재 감정위원인 최경현 박사로 부터
조선시대 초상화에 대하여
슬라이드와 곁들여서 해설을 듣고 배웠다.
오늘 배운 용어들
전신사조(傳神寫照)~인격 이면 까지 엿보이는 초상화 기법
초상화-초상화란 특정한 성격을 지니고 있는 특정 인물을 그려내는 회화로서, 크게 보아 인물화의 일부분에 속한다. 초상화란 단어는 근래에 만들어진 용어로서, 옛 문헌 기록이나 찬문(贊文)을 보면 초상화를 일컬어 진(眞) · 영(影) · 상(像) · 진영(眞影) · 영자(影子) · 진용(眞容) · 영상(影像) · 화상(畵像) · 영정(影幀) · 영첩자(影帖子) 등으로 지칭해 왔다.
공신상(功臣像)
어진(御眞)
(왕을 그린 ‘어진’부터 왕이 공신에게 하사한 ‘공신상’, 양반 관료들을 그린 ‘사대부상’, 승려를 그린 ‘승상’)
기로도상(耆老圖像)-기로도상은 문신·재상으로서 70세 이상인 자가 들어가는 기로소(耆老所)의 모임인 기로회의 장면과 함께 그려진 참석자의 초상화를 가리킨다
기로소(耆老所)란 70세가 넘은 중신(重臣)들을 공경하기 위해 만든 기구로 조선 태조 때 처음 설치 되었다.
왕의 나이 60세가 되면 70세가 넘은 고령의 중신들과 모여 연회를 가졌는데 이를 기로연(耆老宴)이라 하였다.
기로연에서는 왕이 주과(酒果)를 내리고, 중신들의 초상을 도사(圖寫)하게 하였다.
사대부상(士大夫像)-일반 사대부상은 공신상이나 기로도상 외에 감계적인 목적으로 제작된 사대부의 초상화이다.
유교의 발달로 인하여 사묘(祠廟)·영당(影堂)·서원(書院)의 건립이 증가함에 따라 많은 수의 사대부상이 제작되었다.
승상(僧像)-승상은 고승의 초상화로서 진영(眞影)이라고도 불린다. 이 승상은 조사 신앙의 예배 대상으로서 선종의 영향을 받아 제작되었다. 초상화는 인물화의 핵심적인 주제로 각 시대 인물화의 특징이 초상화에 집약되어 표현된다고 볼 수 있다.
초상화를 그리는 방법 3 가지
도사(圖寫)~직접 얼굴을 보고그리는 방법
추사(追寫)~죽은 다음에 주변사람의 의견을 모아 그리는 방법
모사(模寫)~그 전의 그림을 그대로 옮겨그리는 방법
심의(深衣)-유학자들이 입던 겉옷. 백세포(白細布)로 만들며 깃·소맷부리 등 옷의 가장자리에 검은 비단으로 선을 두른다.
대부분의 포(袍)와는 달리 의(衣)와 상(裳)이 따로 재단되어 연결되며, 12폭의 상이 몸을 휩싸게 되어 있어
심원한 느낌을 준다. 복건, 대대, 흑리와 함께 착용한다고.
학창의(鶴氅衣)
복건(幅巾)
와룡관(臥龍冠)
동파관(東坡冠)
정자관(程子冠)
안악 3호분, 357년, 고구려 고분벽화,전실 서벽의 남자 주인공
덕흥리 고분, 408년, 고구려 고분 벽화, 전실의 남자 부인공
회헌(晦軒) 안향(安珦)영정 1318년, 국보 111호-평정건, 몽고 복식
공민왕이 그린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염제신 초상과 중국인 진감여가 그린 이제현 초상, 1319년. 전신, 공수 자세
유탄-먹선-배채-진채(초본)의 순
초본-상초-배채-진채(정본)
어진~임금님 초상, 태조 그림이 많아
태조 어진, 1872년에 이모된 작품, 전주 경기전
영조 어진, 1900년, 입성관 쓰고 곤룡포 입어. 음영 넣어
연잉군 초상, 21세때의 영조, 등근목 형태
고종 어진, 채용신이 그린 것으로 알려짐, 20세기 초, 이마와 콧대의 하일라이트-서양화 기법
순종 어진, 비운의 왕
이시백 초상
기로경회첩
채제공 초상, 향낭주머니, 도사본
분홍색 옷, 개인 사랑에, 시복본
향랑 주머니
강희오 초상
심득경 초상, 38세로 요절, 윤두서는 윤선도 집안, 윤두서의 친구, 추사본, 정자관 모자
송시열 초상, 전국 사당에 70여개, 사대부상, 복건, 심의, 깔끔, 건장, 조선 사대부의 위풍당당
신한평은 신윤복의 부친 그림, 이광사 초상
검은 심의, 이제 초상, 눈 코 수염 자세히 묘사, 멋진 대
버선발의 서직수 초상
이채 초상, 이제의 손자, 정자관
신임 초상, 제갈량의 모자, 불교신자?
이한철.유숙의 이시응 초상
1869년 이시을이 50세 때
금관조복-1년에 1번 입는 옷-권세 부각
유학자적 모습, 화문석
허리띠-서대-거북-사대부상
와룡건, 심의 입어
서탁, 안경, 염주, 인장, 자명종, 칼, 타구 등-예술가적 면모
화려한 사대부상 면모
근대기 채용신의 서양화 기법-황현의 초상-자살한 애국지사(황현)
사진보고 1911년에 그림
어의 모자-갓 폭 좁아-신분적 낮은 지위
소매없는 조끼
모자 빼고 나머지는 사대부적 좋은 물건-권기수 초상
'자료실 > 자료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청사기 (0) | 2010.05.28 |
---|---|
한국 불교회화 (1) | 2010.05.22 |
천안박물관 역사문화대학 개강 (0) | 2010.05.01 |
진해당(振海堂)주련(柱聯) (0) | 2010.05.01 |
공가중 (0) | 2010.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