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9월 30일 일요일


공주 금강의 공주대교, 거기에서 새끼 곰 두 마리를 본다.


두 마리의 새끼 곰은 건너편의 어미 곰을 바라본다.

돌로 조각한 곰 형상이 꼭 살아있는 듯 보이는 귀여운 새끼 곰이다.


공주의 곰나루 전설에 얽힌 곰들로 생각하면서 이 곰을 본다.


▲공주대교의 새끼 곰


한낮에 공주대교를 걸어서 건너는 사람은 별로 없다.

오늘 11시가 못 된 시간에 걷는 사람 만나기 어렵다.

다리 위에서 강물을 내려다보니 금강물이 제법 빠졌다.

제64회 백제문화제 때는 제법 강물이 벙벙해서 강 위의 부교나 유등이 제대로 멋있는 풍경을 보였었는데

강바닥이 보이는 거로 보아 행사가 끝나자마자 공주보의 수문을 열었나 보다.


수문을 열어서 물을 빼는 이유가 있겠지만, 나 개인 생각으로는 강물이 풍부해야만 좋을 것 같다.

풍광도 좋고, 농사에도 풍부한 물이 필요하고, 사람의 마음도 메마르지 않을 것 같으니까.


강다리를 건너면서 가장 눈에 띈 것은 수없이 많은 깃발이 펄럭이는 모습이다.

대충 세었더니 다리 한쪽에 3, 40개. 양쪽으로 6, 70개의 펄럭이는 깃발이다.

2018 자연미술비엔날레 숲속의 은신처를 선전하는 깃발이다.





강을 건너가다 본 표대산 밑 개명사 건물이다.

대한불교 천태종 말사인 개명사는 상월의 금강대학교와 같은 종단의 사찰이다.


▲공주 신관동 표대산 밑 개명사



공주대교를 거의 건너갈 즈음 도로 교통 표지판이 보인다.

이곳부터 공주 구도심의 시작인데 멀리 망월산 두리봉이 보이는 풍경이다.


▲공주대교가 끝나면 강남교차로이다.


변화 있고 아름다운 공주는 시가지를 걸어도 지루하지 않은 전원도시이다.

공주는 운동 삼아 걸어서 다녀도 좋은 도시이다.




'금강과 다리(橋) > 공주대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주대교를 건너면서  (0) 2018.04.15
공주대교의 어미곰 상  (0) 2015.05.10
공주대교  (0) 2013.01.06
금강교를 건너서  (0) 2012.11.21
한 쪽만 해주지 말고 양 쪽 다 해주었으면   (0) 2012.01.18


공주대교를 걸어서 건너면서

공주를 느낀다.


공주 금강에 놓인 다리는 여러 개다.


흔히 우리가 금강교라고 부르는 금강철교는 전막과 금성동을 잇는 다리며

거기서 하류 쪽에 보이는 다리가 백제큰다리이다.


그럼 공주대교는 어디냐면 금강교에서 상류 쪽에 보이는 다리가 공주대교이다.

공주대교의 남쪽이 강남교차로이고, 북쪽이 강북교차로이다.

물론 강북교차로에서 좀 더 가면 공주대학교 정문이 있다.


전에는 금강교만 있었지만, 지금은 신관동 쪽과 공주 시내 쪽을 사람이 걸어서 왕래할 수 있는 다리는

금강교 말고 공주대교와 백제큰다리가 있다.

그중 백제큰다리는 사람이 다닐 수 있는 인도는 있으나 통행 거리가 멀어서 잘 이용하는 다리는 아니다.


가장 많은 사람이 통행하는 다리는 금강교이고

다음이 공주대교이다.

나는 오늘 공주대교를 건너면서 요즈음의 금강 모습을 천천히 보았다.


오가는 차들이 쌩쌩 다니지만, 천천히 걸어서 강바람 맞으며 유유히 흐르는 강물을 쳐다보면서

공주에 사는 시민으로서 금강이 있고, 금강 위에 다리가 있고

공산성을 가까이서 바라볼 수 있고 점차 아파트 수가 늘어가는 신관동을 보면서

걸을 수 있는 아직은 튼튼한 다리가 있음에 감사하며 걷기를 즐겼다.


공주대교 남단과 북단 즉, 시작하는 처음에 돌곰 상이 있다.

남쪽과 북쪽 모두 왼쪽에 새끼 곰 두 마리와 길 건너에 어미 곰 한 마리가 있다.

어미 곰과 새끼 곰이 서로 만나기를 위하듯 서로 쳐다보는 모습이 정겹다.



▲공주대교 남단의 곰 상(새끼 곰 두 마리가 길 건너 어미 곰을 바라보는 모습이 귀엽다,)



공주대교에서 하류 쪽을 보니 활짝 핀 벚꽃이 아름다운 아파트가 보인다.

아직 빈 곳에도 더 많은 벚나무가 심어져서 앞으로 더욱 환한 봄을 장식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공주 금강 변의 환한 아파트가 정겹다.



공주대교를 건너면서 다리 아래 강물이 흐르는 모습을 보니

물살이 제법 세어 보인다.

공주보에서 수문을 열어서 갇혔던 강물이 빠져나가서 잠잠하게 찼던 강물이 모래톱을 이루고

강바닥을 쓸어내듯이 흐르는 모습이다.


▲금강에 흐르는 강물, 물이 빠진 강에 모래톱이 보이고 강속이 제법 센 모습이다.


강물이 깨끗해졌으면 좋겠고

주변 농사에 강물이 효과적으로 편리하게 이용됐으면 더욱 좋겠다.












공주대교에는 모두 여섯 마리의 곰이 있습니다.

모두 돌로 만든 상(像)입니다.


사진으로 보면 얌전하게 잘생긴 모습입니다.

모습을 설명하자면 이 곰은 어미 곰입니다.

공주대교의 상류 쪽 인도교 입구에 세워진 이 곰상은

길 건너 공산성 쪽에 있는 두 마리의 새끼 곰을 바라보고 있습니다.

물론 연미산의 곰굴을 쳐다보는지도 모릅니다.


곰 상의 뒤편 다리 건너 산 밑에 공주에 새로 세워진 천태종 구인사 말사인 공주 개명사(開明寺)의 건물도 보입니다.


공주는 곰과 인연이 많습니다.





2012년 1월 6일 일요일

공주대교를 걸어서 건넜다.

 

집에서 아내와 같이 미끄러운 도로를 안전하게 신경 써서 걸었다.

강북교차로에서 헤어져서 나는 시내 반도에서 깎고

다시 건너와서 행복에서 닦았다.

 

공주대교의 제원표가 너무 흐려서 읽지 못하고

강북교차로 부근에 정진석 축하 플래카드가 여러 매 걸려 있다.

 

미끄러운 길을 조심해서 걸으려니 더욱 걷기 운동이 되는 것 같았다.

추운 겨울이지만, 걱정 없다.

 

이기자.

견디자.

 

추위를!

 

 

 

 

 

 

 

 

 

 

옥룡동 송이 식당에서 어제 아내와 같이 맛있게 먹은 6천 원짜리 다슬깃 국. 된장국에 시금치를 넣어 끓인 맛이 구수했다. 이 식당은 올갱이 전문집이란다.

 

'금강과 다리(橋) > 공주대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주대교를 건너면서  (0) 2018.04.15
공주대교의 어미곰 상  (0) 2015.05.10
금강교를 건너서  (0) 2012.11.21
한 쪽만 해주지 말고 양 쪽 다 해주었으면   (0) 2012.01.18
공주대교 곰상이...  (0) 2009.10.16

2012년 11월 19일 월요일

공주 금강교를 건너면서

보이는 모습을 카메라에 담았다.

 

 

금강교 남단에 붙은 현수막, 백제큰다리 전면 통제 안내 

 

 

 

금강교에서 공주대교 쪽을 바라본 모습, 연기가 피어오르는데 산불인가 걱정하게 했다. 

 

 

 

 

공주 금강교의 중간 부분 

 

 

 

 

 

 

 

 

 

 

금강교의 가로등 

 

 

금강교에서 내려다본 금강신관 공원 

 

 

 

 

금강교의 북단, 전막 교차로에 공산성이 2km라는 안내판이 서 있다.

 

'금강과 다리(橋) > 공주대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주대교의 어미곰 상  (0) 2015.05.10
공주대교  (0) 2013.01.06
한 쪽만 해주지 말고 양 쪽 다 해주었으면   (0) 2012.01.18
공주대교 곰상이...  (0) 2009.10.16
공주대교를 건느며  (0) 2009.03.06

한 쪽만 해주지 말고 양 쪽 다 해주었으면
임혁현 시민기자의 눈
2012년 01월 15일 (일) 12:09:24 임혁현 시민기자 ih2oo@hanmail.net

공주 월성산 길 안내판을 뒷면도 활용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공주 월성산 봉화대의 등산길에서는 길을 안내하는 이른바 이정표를 볼 수 있다. 자주 산을 오르는 사람은 길을 뻔히 알고 있기 때문에 이 길 안내판을 예사로 보지만, 처음 산행을 하는 사람에게는 꼭 필요한 것이 아닐 수 없다.

공주시에서 공주시민을 위하여 세운 이런 안내판을 만날 때마다 고마움을 느낀다. 이 안내판이 세 갈림길 이상에서는 갈 방향을 알려주는 안내자 노릇을 하기 때문이다.

   
 봉화대 정상의 이정표

봉화대 정상의 안내판을 보니 최근에 아주 멋지게 잘 만들어 세웠다. 그래서 다른 곳의 안내판도 그렇게 만들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정상의 안내판은 앞과 뒤 그리고 옆에서도 행선지를 알 수 있도록 선명하게 써서 적절한 위치에 잘 세워져 보는 사람마다 좋아한다.

   
 어느 방향에서 보아도 가는 방향의 길이 잘 안내되어 있다.

   
 길 안내판이 행선지 및 거리는 물론 산불조심의 홍보도 하고 있다.

이처럼 산길을 오가는 사람에게 행선지 방향을 잘 알리려는 목표를 지닌 안내판이라면 이쪽과 저쪽 모두를 알려야 하고 지명도 정확하게 표기해야 할 것이다.

여러 사람에게 알리는 내용은 디자인의 미적 요소와 그 내용의 정확성과 실용성을 지녀야 한다. 규격이나, 색상도 중요하다. 세워지는 위치도 잘 정해야 하며, 그 내용도 틀림없어야 한다.

길을 안내하는 안내판은 꼭 필요하니까 예산을 세워서 계획한 대로 세우는 것으로 안다. 어떠한 내용과 모양으로 어디에 어떻게 만들어 세워야 할지를 사전에 꼼꼼하게 생각해서 세워야 하는데 현재의 안내판 중에서 다음 몇 개는 다음과 같이 고쳤으면 싶다.

1. 가까운 거리에 '영명고'와 '영명교' 두 개로 표시되어 있는데 이는 '영명고'로 통일했으면 한다.

   
영명교와 봉화대의 방향지시 안내판

   
'영명교' 표지판에서 얼마 되지 않은 거리에 '영명고'로 표시한 표지판이 서 있다.

 그리고 뒷면을 빈 채로 두지 말고 뒤에서 오는 사람에게도 방향을 알도록 뒷면에도 행선지를 표시했으면 좋겠다.

   
한쪽은 표시되었지만, 뒤쪽은 비어 있는데 뒷면에도 표시를 해주면 그것이 곧 배려 아닌가 생각된다.

   
빈 채로 그냥 두면 허전하지만, 채우면 도움이 되니 그것이 배려다.

   
세 갈래 길에 세워진 안내문. 중요한 역할을 해주고 있다.

   
앞에서 표시한 봉수대를 빈 곳에 적어주면 좋을 것 같다.

 

   
 수원골과 주공아파트 표지판

   
빈 곳에 수원골도 적어주면 고마울 것이다.

 

   
 세 갈림 길의 안내판

   
 빈 곳에 주공아파트를 적어주면 좋을 것 같다.

   
 육각정인 월성정 부근의 길 안내판

   
 왼쪽이 충령탑, 오른쪽이 봉화대인데 빈 채로 그냥 둔 모양

 

ⓒ 특급뉴스(http://www.express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저작권문의  

'금강과 다리(橋) > 공주대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주대교  (0) 2013.01.06
금강교를 건너서  (0) 2012.11.21
공주대교 곰상이...  (0) 2009.10.16
공주대교를 건느며  (0) 2009.03.06
공주대교의 밤  (0) 2007.09.26

2009년 10월 16일 금요일

공주시 강남교차로에서 공주대교 동쪽편 보행로로 건너가다 본 모습이다.

공주대교 다리는 대개 서쪽 금강교쪽으로 보행자들이 많이 통행하는 편이라서인지

상류 쪽의 동쪽 통행로는 길이 한산하다.

오늘 자전거로 건느면서 보니 곰상 근처를 아카시아 나무가 둘러싸고 있다.

 

10월은 공주시에 각종 축제가 많은 달인데

금강 부교와 섶다리 그리고 금강교의 루미나리에는 환한 불빛을 받지만

이곳 공주대교는 천대받고 있는 느낌이다.

 

 

 

 

 

'금강과 다리(橋) > 공주대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교를 건너서  (0) 2012.11.21
한 쪽만 해주지 말고 양 쪽 다 해주었으면   (0) 2012.01.18
공주대교를 건느며  (0) 2009.03.06
공주대교의 밤  (0) 2007.09.26
공주대교  (0) 2007.08.22

2009년 3월 6일 금요일

아직 바람은 찬데

걸어서 금강 공주대교를 건너서 개명사 까지 다녀왔다.

엊저녁 꿈자리가 안 좋고 하여

내 지난 과거를 반성하고자

개명사에서 108배를 하고 왔다.

 

개명사 부처님을 어머니로 생각하고

나의 그동안 큰 잘못을 빌고 용서를 구하였다.

은실이 맘 잡고 9일 부터 취직자리에서 열심히 일하도록 배려 해 주시고

부자의 건강을 잘 보살펴 주시기를 두 손모아 합장 기도하였다. 부처님께, 어머님께.

108배를 하는 동안 땀이 이마에 맺히고

두 다리가 힘들었지만

자꾸 108배를 하여 습관이 되어 몸에 배도록 해야겠다.

 

 

 (지난 해 꽃을 피웠던 잔해가 아직도 개명사 화단에 있다)

 

 (공주대교의 새끼 곰 상. 건너편 어미 곰 상을 바라보며 귀여운 모습을 하고 있다)

 

 (공주 금강)

 

 (구름 낀 공주 금강의 하늘)

 

 

 (햇빛을 반사하는 공주 금강물)

 

 (공주대교의 어미 곰 상)

 

 (이 슬로건은 나를 보라는 것 같다. 이렇게 두발로 걷거나 자전거를 타고 이 다리를 수도 없이 오가는 나를 말이다)

 

 (사물놀이 공연 안내문)

 

 (동호회원 모집 안내문)

 

'금강과 다리(橋) > 공주대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교를 건너서  (0) 2012.11.21
한 쪽만 해주지 말고 양 쪽 다 해주었으면   (0) 2012.01.18
공주대교 곰상이...  (0) 2009.10.16
공주대교의 밤  (0) 2007.09.26
공주대교  (0) 2007.08.22

2007.9.26 (화)

 

  공주 금강 공주대교에서 금강교와

  팔월 열엿새 달을 보다.

 














'금강과 다리(橋) > 공주대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교를 건너서  (0) 2012.11.21
한 쪽만 해주지 말고 양 쪽 다 해주었으면   (0) 2012.01.18
공주대교 곰상이...  (0) 2009.10.16
공주대교를 건느며  (0) 2009.03.06
공주대교  (0) 2007.08.22
공주 금강의 다리 중에

  옥룡동에서 신관동을 연결하는 공주대교

  옥룡동으로 건너왔을 때의 곰상

 




 

인도쪽에 전신주가 있고 곰상이 인도쪽에 약간 돌출

 

 




신관동 쪽으로 건너가면 대교사거리

이 쪽도 마찬가지로 곰상받침돌이 인도로 돌출되어 있음을 본다.

'금강과 다리(橋) > 공주대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교를 건너서  (0) 2012.11.21
한 쪽만 해주지 말고 양 쪽 다 해주었으면   (0) 2012.01.18
공주대교 곰상이...  (0) 2009.10.16
공주대교를 건느며  (0) 2009.03.06
공주대교의 밤  (0) 2007.09.26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