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6월 3일, 공주시 의당면 꽃길을 걸었다.

의당면 사람들이 조성한 꽃길이라는 표지판이 있다.. 의당면 청룡리 면소재지 큰 도로에서 시작하는 둑길을 따라 20여 분을 걸으면서 본 금계국의 노란 물결은 그야말로 멋진 꽃길이다. 삭막한 둑의 양쪽에 씨 뿌려 가꾼 금계국이 참 볼만하다. 이런 꽃길을 보면서 공주 금강 신관공원 둑 전체에 환하던 언젠가의 모습이 떠올려진다. 지금도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만들 수 있는 꽃길일 거라는 생각을 한다. 이곳 의당면 사람들처럼 생각과 뜻만 있다면 온 동네가 꽃피는 세상일 것이다.

 

 

 

'잔잔한미소 >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앵두 없다"  (0) 2023.06.02
"방학이다, 좀 쉬자"  (0) 2023.06.01
영규대사  (0) 2023.06.01
장학퀴즈(2023년 5월 28일)  (0) 2023.05.29
5월의 공주 역사인물, 이복(李福)  (0) 2023.05.25

2023년 6월 1일, 정안천 연못가 앵두나무에 앵두가 없다.

지금 한창 익어갈 때인데 오늘 둘러본 연못가 앵두나무에는 앵두 한 알도 안 보인다. 짐승들이 따 먹었나, 지나는 사람들이 따 먹었나 한 알도 보이지 않으니 참 신기하다. 샅샅이 살펴봐도 이 나무 저 나무 이곳저곳 살펴도 앵두는 없다. 푸른 앵두잎만 무성하다.

앵두 맛을 보고 싶어서가 아니라 앵두 같은 입술을 연상하기도 하고 나뭇가지에 매달린 붉은 앵두알이 작지만, 탐스러워서 오래 보고 싶었는데 앵두를 볼 수 없게 되니 좀 서운한 감정이다.

다행히 사람 발길이 잘 안 닿는 곳의 앵두나무 한 그루에서 손 닿는 곳은 앵두가 없지만, 좀 높은 곳의 앵두는 그대로 달려 있다. 사진으로 담고 자리를 뜨니 어디서 나타났는지  어느 남녀 두 사람이 나타나서 앵두가 매달린 가지를 휘어잡아 앵두를 딴다. 내 것도 아닌데 왜 따느냐 시비 붙을 수도 없고 따지 말라고 말릴 수도 없는 일이라 그냥 두고 돌아섰는데 누가  따갈까 봐 두 사람이 달려들어 따는 모습으로 보아 금방 다 딸 것 같았다. 미끈하게 생긴 두 남녀의 모습이 오래 아른 거렸다.

"앵두 좋아하시나 봐요? 다른 사람도 앵두 매달린 것을 좋아할 겁니다. 다 따버리면 아주 없어지니 서운하지 않을까요? 좀 남겨 두는 여유도 좋지 않을까요?" 그분들에게 이런 말할 용기도 없었지만, 내가 만약에 그들에게 이런 말을 했더라면 그 반응이 어땠을까 궁금하다.

오늘 다 못 따면 내 일이라도 이 사람들은 와서 다 딸 것 같다.

보는 게 임자다. 맡는 게 인자다. 아니다 따 먹는 놈이 임자다. 어디서 들은 소리다.

정안천 연못가 앵두나무의 앵두는 아마 내일까지 가기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이다.

내년에 푸른 앵두를 생각하자.

'잔잔한미소 >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당면 꽃길  (0) 2023.06.03
"방학이다, 좀 쉬자"  (0) 2023.06.01
영규대사  (0) 2023.06.01
장학퀴즈(2023년 5월 28일)  (0) 2023.05.29
5월의 공주 역사인물, 이복(李福)  (0) 2023.05.25

2023년 6월 1일, 유진 코아루 아파트 승강장에서 시내버스 600번을 타고 와 의당면 종합사회복지관 정류장에서 내렸다. 그동안 같이 다니던 강*연 회장님도 같이 만나 반가웠다. 오늘은 단 둘이서 내려 론볼장에 가니 최*산 친구만이 우릴 맞는다. 론볼 체육관 미화를 위해 오시는 아주머니도 의아해한다. 사실은 5월 31일부터 약 90일 동안, 바닥 공사를 하기 때문에 회원들이 방학으로 들어간 셈이다. 어제 하루 안 왔는데 벌써 바닥의 인공잔디가 다 걷어져서 시멘트 바닥만이 얼굴을 보이니 삭막하다.\

 

지난 5월 30일, 사무국장의 안내 문자를 받아서 모두 규칙적으로 오던 론볼체육관이 휴장으로 들어갔다. 공사가 완공될 때까지 애들 말대로 방학이다. 쉬는 동안 규칙적인 일을 생각하여 꾸준히 실천하는 계기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매일 만나던 분들이라 하루아침에 만나지 못하니 기분이 좀 그렇다. 모두 휴장기간 동안 건강관리 잘하시어 공사가 끝나면 다시 건강하게 다시 만날 것을 기약한다.

혼자서 메타세쿼이아 길을 걸었다. 나처럼 여전히 걷는 사람은 오늘도 걷는다. 작은 메타세쿼이아 길의 나무가 많이 자랐다. 얼마 안 있으면 제법 숲길 모습을 할 것 같다.  연못의 연잎도 제법 커져 있다. 이렇게 크다 보면 곧 연꽃대가 올라올 것 같은 예감이다. 자연은 절대로 역행하지 않는다. 연못가를 걸으면서 순리대로 나아가는 자연의 섭리를 느낀다. 자연의 순리에 따라야 한다.

정안천 연못의 푸른 모습을 본다 

'잔잔한미소 >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당면 꽃길  (0) 2023.06.03
"앵두 없다"  (0) 2023.06.02
영규대사  (0) 2023.06.01
장학퀴즈(2023년 5월 28일)  (0) 2023.05.29
5월의 공주 역사인물, 이복(李福)  (0) 2023.05.25

20123년 5월 24일, 계룡면 행정복지센터 앞과 계룡면 유평리 마을에서 영규개사 관령 자료를 확인할 기회가 있었다. 장길수 회장인므이 배려로 같이 동승하여 여기저기를 방문하였는데, 향덕마을을 본 후 이곳 계룡면 월암리 계룡면행정복지센터 앞의 영규대사 비를 찾았다.

조그만 정자 안에 붙어 있는 내용이다. 그 옆에 있는 이 비에 대한 해설안내판을 읽어보았다.

임진왜란 때 최초로 승병 영규대사의 정려비라는 내용이다.

 

비각 안에 걸린 영규대사(靈圭大師) 지려(之閭)다.

 

 

영규대사정려문 뒤로 계룡면행정복지센터가 보인다. 현대식 좋은 건물이다 안에 가보니 계룡면을 홍보하는 안내판도 보였다. 

 

 

월암리를 지나 유평리 아담한 마을 끝에서 본 영규대사 영정각이다. 앞에 홍살문이 우람하다.

 

멀리 계룡산의 위엄이 눈에 들어온다.

 

 

눈앞에 계룡뜰과 멀리 계룡 저수지와 뒤로 계룡산이 보이는 풍광이 시원하게 펼쳐 보인다.

 

전망이 좋아 넓은 들이 보이고, 멀리 국립공원 계룡산이 보이는 마을 계룡면 유평리가 남향이라 따뜻한 동네로 보였고 인심이 후할 것 같았다. 

'잔잔한미소 >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앵두 없다"  (0) 2023.06.02
"방학이다, 좀 쉬자"  (0) 2023.06.01
장학퀴즈(2023년 5월 28일)  (0) 2023.05.29
5월의 공주 역사인물, 이복(李福)  (0) 2023.05.25
삼락노인자원봉사  (0) 2023.05.18

30, 모나리자, 콜럼버스, 바위, 부활절과 관련된 연상 퀴즈 정답은 달걀

 

다음 내용과 연관된 것은?

*1971년 국가무형문화재 *임인진연도병 *태평소 *BTS슈가의 노래

정답 대취타

 

 

 

'잔잔한미소 >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학이다, 좀 쉬자"  (0) 2023.06.01
영규대사  (0) 2023.06.01
5월의 공주 역사인물, 이복(李福)  (0) 2023.05.25
삼락노인자원봉사  (0) 2023.05.18
업광유신(業廣惟信)  (0) 2023.05.17

공주에는 효자로 이름난 사람이 신라시대의 향덕과 고려시대의 이복이 전해 온다. 공주 국고개길에 충남역사박물관이 있고 그 바로 옆에 효심공원이 만들어져 있는데 거기에 향덕과 이복의 효심을 기리고 효의 의미를 널리 생각하게 하는 비각을 비롯하여 여러 상 등이 설치되어 있다. 충남역사박물관 고개로 오르는 길가의 주소를 보면 국고개길이다. 이 국고개라는 이름이 효자 이복이 국을 엎질러서 생긴 이름이라는데 공주의 효자 이복이 2023년 5월 공주의 역사인물로 선정되었다니 가정의 달 5월에 맞는 역사인물이 된 것 같다.

2023년 5월 21일 자 충남도민 리포터 글을 공유한다. 주소를 클릭하여 보시기 바란다. 

http://www.chungnam.go.kr/media/mediaMain.do?article_no=MD0001954716&med_action=view&mnu_cd=CNNMENU00013 

 

고려시대 공주의 효자 이복(李福) 이야기

고려시대 공주의 효자 이복(李福) 이야기 2023년 5월의 공주 역사인물

www.chungnam.go.kr

 

이복의 효를 널리 선양하고 그를 추모하기 위한 행사가 5월 30일 10시 20분에 효심공원에서 열린다는 안내 플래카드가 붙어 있다. 

 

'잔잔한미소 >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규대사  (0) 2023.06.01
장학퀴즈(2023년 5월 28일)  (0) 2023.05.29
삼락노인자원봉사  (0) 2023.05.18
업광유신(業廣惟信)  (0) 2023.05.17
공주시 교육삼락회봉사단 봉사활동  (0) 2023.05.15

2023년 5월 16일 요즈음 피는 꽃들을 봅니다. 내 주변에서 보이는 꽃들이 대부분 빨간색이나 흰색이 대부분입니다. 집 근처나 길가의 장미가 온통 빨간색이고 정안천 연못가의 꽃양귀비 색도 빨갛습니다. 흰샏ㄱ 꽃은 요즈음 찔레꽃입니다. 빨강 아니면 흰색이 이렇게 많습니다. 더러 노란색이나 보라색도 있었으면 좋으련만, 거의 하얗거나 빨갛습니다. 붉거나 흰색이어도 꽃은 꽃이니 좋습니다. 골고루 많은 색이 보고 싶기 때문입니다. 

 

요즈음 하얀 찔레꽃도 보입니다.

 

또 다른 색이 있다면 요즈음 흔하게 피는 애기똥풀입니다. 정안천 냇가에 지천으로 노랗게 핀 애기똥풀을 쉽게 볼 수 있습니다.

 

노란색 꽃이 또 보입니다. 연못가의 창포입니다.

'잔잔한미소 > 잔잔한미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미, 붉은 장미  (1) 2023.05.14
창문 밖 이팝나무가  (0) 2023.04.25
시내버스 안에서 본 공주 시내  (0) 2023.04.23
봄, 들판  (0) 2023.04.08
봄 꽃 환한 우리 집에  (0) 2023.03.26

2023년 5월 17일 수요일

공주시교육삼락 노인자원봉사단(단장 최창석) 단원 20명은 5월 1차 봉사활동을 벌였습니다.

공주시 반죽동 대통사지 공원에 모여 탄소중립의 결의를 다지고 단장님의 인사에 이어 정해진 작업 범위와 시간에 맞춰 봉사활동을 벌였습니다. 초여름의 더운 날씨에 반죽동 봉황동 거리와 골목의 미화 작업을 주로 실시했는데 과거 교직에서의 선생을 떠나 노익장을 과시하여 열심히 작업에 임하는 모든 분의 열성을 높이 샀습니다. 교직에서 교장을 비롯하여 학무과장, 교육장을 지낸 원로 품격 높은 교육자들이지만, 지금은 신민의 한 사람으로 지구의 한 모퉁이라도 맑고 깨끗이 하겠다는 일념으로 거리 미화 작업에 열심히 임하는 모습이 참으로 보기 좋았다는 평입니다. 거리의 작은 담배꽁초 하나를 집으면서 아무 데나 버려지는 쓰레기들이 하나둘 쌓이면 우리 시가지는 더럽혀집니다. 나 하나라도 더럽히지 않고 청결을 유지한다는 생활태도야 말로 문화시민의 긍지를 살리는 길이라고 봅니다. 노란 복장을 하고 노인들이 허리 굽혀 쓰레기를 줍는 모습이 모든 시민의 눈에 조금이라도 깨끗한 거리를 유지하는데 경각심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도었으면 바라봅니다.

오늘 더운 날씨에 애쓰신 교육삼락노인봉사단 최창석 단장님을 비롯하여 단원 여러분의 노고에 감사합니다.

'잔잔한미소 >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학퀴즈(2023년 5월 28일)  (0) 2023.05.29
5월의 공주 역사인물, 이복(李福)  (0) 2023.05.25
업광유신(業廣惟信)  (0) 2023.05.17
공주시 교육삼락회봉사단 봉사활동  (0) 2023.05.15
어려운 우리말  (0) 2023.05.02

2023년 5월 15일

백제 새마을금고 이사장은 그가 중학생일 때부터 잘 아는 사이다. 전국 제일의 마을금고로 이끌어가는 표시가 둔한 나도 알게끔 소문이 난 것을 칭찬해 주니 모두 선생님 덕분이라면서 겸손한 마음을 간진 익사자이다. 우수한 마을금고로 이끈 데에는 남다른 열정과 노하우가 있었기 때문으로 안다.

이사장길에 들를 기회에 벽면에 걸린 글을 볼 수 있었다. 최석원총장의 글을 쓴 것인데 업광유신이라는 글을 잘 몰라서 알아보니 다음과 같은 해설을 읽을 수 있었다.

짐작하건대 그의 신뢰도 밑받침 되어서 승승장구한 것일 것이라는 짐작을 해 본다. 그의 집무실 한쪽 벽에  '업광유신(業廣惟信)'이라는 액자가 걸려 있다. 원래 서경에 나오는 '업광유근(業廣惟勤)'의 마지막 한 자만 바꾼 것으로, '큰 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신뢰가 중요하다'는 뜻이란다.

 

2023년 5월 9일 화요일 공주시 교육삼락회(회장 최창석)의 노인자원봉사단의 활동 상황이다.

교육삼락 노인자원봉사단(단장 최창석) 단원 20명은 주기적으로 매월 2회에 걸쳐 자원봉사활동을 벌이고 있다.

가르치는 즐거움, 배우는 즐거움 그리고 봉사하는 즐거움. 이 세 가지를 지표로 하는 교육삼락회는 평생 교직에서 봉직하다 퇴직한 사람들로 노령의 나이에도 즐거이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모습이 대견스럽다. 최고령이신 유두열 회원은 솔선수범으로 모든 회원의 본보기를 보여 주시는 덕분에 모든 회원이 즐거이 정해진 봉사활동을 하고 있다. 거기에 최창석 회장은 선두에서 모든 회원의 활동 범위와 목표를 명확히 정해주어 어느 다른 단체보다도 효과적이고 적극적인 활동을 하는 교원들로서 타의 모범을 보이는 활동을 하는 단체로 이끌고 있다.

오늘은 공주시 신관동 신관육교 아래에 집결하여 탄소중립의 명확한 인식 아래 20명 단원은  한마음 한뜻으로 결의를 다지고 곧이어 공주 종합버스터미널 주변 거리 미화 작업을 하는 봉사활동을 벌였다. 마침 구터미널이 철거 작업 계획으로 주차장이 폐쇄됨에 따라 주변의 펜스 밑에 담배꽁초가 전에 비하여 너저분한 상태라 수많은 담배꽁초 줍는 작업이 주가 되었다. 시내버스 정류장 부근에 특히 오물이 많았는데 부피가 작은 오물 처리가 더 힘들었다. 어쨌던지 한 사람 한 사람 열심히 거리 미화 작업에 임한 회원들의 노력에 위해 그 결과가 컸다고 본다. 노란 복장으로 담배꽁초를 줍는 노인봉사단원원의 활동 모습이 보는 시민들의 경각심을 불러일으켰을 것으로 작으나마 희망을 걸어본다.

70대와 80대가 많은 우리 교육삼락봉사단원은 다음 5월 2차 봉사활동에서도 즐거운 마음으로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다.

'잔잔한미소 >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락노인자원봉사  (0) 2023.05.18
업광유신(業廣惟信)  (0) 2023.05.17
어려운 우리말  (0) 2023.05.02
2023 이 시대의 작가전-정관모  (0) 2023.04.27
부산 과학고 박현수  (0) 2023.04.2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