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의기관(관공서,관광지)

충남역사박물관

ih2oo 2015. 10. 19. 14:19

2015년 10월 15일 목요일

공주중동성당과 공주영명중고등학교 사이의 고개에 충남역사박물관이 있다.

거기에 봄이면 벚꽃이 휘늘어지게 피는 벚나무 아래에 이곳을 표시하는 구조물이 세워져 있다.

자세히 보면 우물도 있고 부조도 있고 이곳의 내력을 써 놓은 글도 읽을 수 있다.


▲국고개 이야기


국고개는 효자의 가슴 따뜻한 이야기가 전해오는 곳이다.

자세한 이야기를 읽어보자.



▲국고개문화거리 표시판이 울창한 벚나무에 가린 모습이다.



▲충남역사박물관으로 오르는 계단 오른편의 모습이다.



▲공주 구도심 역사문화를 안내하는 지도



▲국고개 문화거리의 내용이 적힌 안내판



충남역사박물관으로 오르는 계단을 따라 올라가면 오른쪽으로 정문이 있다.

마침 특별 기획 전시회가 열리고 있었다.


벽면에 큼직하게 김장생 부자의 인물과 업적 등 내용이 소상하게 안내되어 있고

전시실에 들어가니 더욱 상세한 내용이 전시되어 있었는데

그 내용을 따로 공부해야만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았다.



▲충남역사박물관 벽면에 게시된 내용



▲충남역사박물관 개관 9주년 기념으로 열리는 기획 전시회 ‘天下同禮’,

  ‘예로 평등한 세상을 꿈꾸다.’



▲신독재 김집(愼獨齋 金集) (1574~1656)

  김제는 사계 김장생의 아들로 조선 예학의 기본 체계를 완비하였고, 송시열 등에 학문을 전하여 호서학파 형성에 큰 역할을 하였다 함




▲사계 김장생(沙溪 金長生) (1548~1631)

  구봉 송익균으로부터 四書와 禮學을 배웠고, 율곡 이이에게서 性理學을 배웠음. 관직보다 충남 연산에서 학문 연구에 집중하였음



▲김장생과 김집은 광산 김씨 발전에 많은 공을 세웠다.



▲김장생과 김집의 역할



▲김장생과 깁집은 문묘에 배향되는 최고의 영예를 지닌 부자(父子)다.



▲김장생과 김집 부자의 예학 연구



▲김장생과 김집 부자의 연표



▲예(禮)의 중요성




▲헌작과 유식 합문




▲김장생의 불천위제(不遷位祭)

   광산 김씨의 불천위제는 음력 8월 3일 염수재(念修齎)에서 거행된다고 한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