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 세계사물놀이겨루기한마당 수상자 명단
www.samulfestival.com

 


대상(대통령상) 일본 오사카 건국학교
최우수상(국회의장상) 수원 한얼예술단
우수상(문화관광부장관상) 천안 전통연희단 난장앤판
우수상(행정자치부장관상) 완도 예작분교 소리터
우수상(충청남도지사상) 대전 구봉풍물단

초등부문
으뜸상  수원 효천초등학교 어울림
버금상  안산 원일초등학교 으뜸하나
딸림상  천안 용암초등학교 소리나래

중고등부문
으뜸상  전통연희단 꼭두쇠 또바기
버금상  땀띠
딸림상  울산 경영정보고등학교 버슴새

대학일반1부문
으뜸상  인천광역시 서구립풍물단
버금상  오산 한얼예술단
딸림상  안산교사풍물패 흥누리
딸림상  신명난가족사물놀이

대학일반2부문
버금상  해군홍보단

창작부문
버금상  양평 용문고등학교 용타
딸림상  울산국악아카데미 버슴새

풍물학생부문
으뜸상  아산 송곡초등학교

외국인 및 해외동포부문
버금상 빨라시 올가

특별상부문
최우수연희자상 - 아산 송곡초등학교 꼬리벅구 고유진
지도자상 - 땀띠 지도교사 현승훈선생님
인기상 - 완도 예작분교 소리터

 

















 






































 

제16회 세계사물놀이겨루기한마당    때: 2007.11.9~11.11  곳:  공주대학교 백제교육문화회관 외  주최: 사단법인 사물놀이한울림  주관: (주)난장 컬처스  후원: 문화관광부, 행정자치부, 충청남도, KBS대전방송총국, 국립공주대학교  문의: www.samulfestival.com

 

  김동운 회장님, 오윤식 부회장님과 같이 참석하여 감상 

혼이 담긴 멋진 우리예술의 극치를 보다.  특히  송곡초등학교의 풍물놀이, 완도 예작분교(전교생6명 이라는)의 모듬북과 사물놀이가  머리에 남는다. 

 

  우리의 음악이    세계로 더 많이 퍼져 나갔으면 좋겠다.

 


(사물놀이겨루기한마당이 열리는 공주대 백제교육문화관)

 


(연습이 한창)

 


(공주대학교의 백제교육문화관)

 


(2007년 11월 10일의 경연 순서)

 


(공주는 이 대회 열기로 가득)

 


(아산 송곡초등학교의 풍물패 공연)

 


(사회자와 심사위원)


(갖가지 묘기를 연출하는 송곡초)

 


(송곡초 풍물패 지도교사 이영금 선생님 모습이 멀리 보인다)

 


(심사위원들도 일어서고...)

 


(외국인도 관심을 보이고 사진촬영)

 


(열심히 응원하는 송곡초 어머니들)

 


(이런 열성이 교육에 힘이 된다)

 


(기수와 스님)

 


(연출에 하자 없이)

 


































(먹자 식당 앞의 체험코너)

 <결선 진출자 명단>
초등학생부문
- 천안 용암 초등학교 (소리나래)
- 수원 효천 초등학교 (어울림)
- 안산 원일 초등학교 (으뜸하나)
중고등학생부문
- 버슴새 (울산)
- 땀띠 (서울)
- 또바기 (시흥)
대학일반 1번 부문
- 인천광역시 서구립풍물단 (인천)
- 신명난 가족 사물놀이 (김해)
- 한얼예술단 (오산)
- 교사풍물패 흥누리 (안산)
대학일반 2번 부문
- 전통연희단 난장앤판 (천안)
- 한얼예술단 (수원)
- 해군홍보단 사물놀이 (대전)
창작작품 부문
- 건국학교 (일본)
- 울산국악아카데미 (울산)
- 예작분교 소리터 (완도)
풍물 부문
- 송곡초등학교 (아산)
- 구봉풍물단 (대전)
외국인 부문
- 건국학교 (일본)
- 올가 (러시아)

2007.8.1 (수)

 

  공주 개명사 풍장소리가 다듬어져 가고 있다.

  변내현 선생님의 지도로 오늘이 8 일 째

 

  오늘은 정기 법회가 끝나고 점심공양 후에

  개명사 뒷산 소나무 밑에서 연습

 

  성해 스님께서도 관심을 갖고 와 보시고 열심히 하라 하시고

  합창단 단장, 서 고문님을 비롯한 여러 보살님들이 물심 양면으로

  관심을 보여 주시는 모습이 고맙더라.

 

  꽹과리는 유 처사님과 나 서장님

  장구는 나와 심 사업부장(오늘은 불참)

  북은 김 고문님과 오 부회장님이 우선 맡아서 친다.

 

  사물놀이는 혼자서만 잘쳐서 되는 게 아니고

  네가지 악기가 한데 어우러져서 음악을 만드는 것이다.

 

  남의 소리를 잘 듣고 같이 화합하는 연습이 더 필요한 것 같다.

 









  북 보다 장구 치기가 더 어려운 가? 

 




'자료실 > 생활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의 유용한 활용  (0) 2007.08.03
보살님과 고구마 밭  (0) 2007.08.01
개명사 정기법회  (0) 2007.08.01
신성 동의보감  (0) 2007.07.31
공주 공산성 공북루  (0) 2007.07.30

2007.7.20 (금) 13:00

 

  공주 개명사에서 사물놀이 연습

  선생님 변내현(卞來鉉)

  제자 김동운(金東雲), 오윤식(吳允植), 류부영(柳富永), 심현섭, 나경운(羅敬運), 나

 

  과제; 삼채

  자료; 선생님의 악보

 




열심히 연습하는 모습 (개인 교수)





 

'자료실 > 생활기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디오와 귀  (0) 2007.07.22
저녁 산책길  (0) 2007.07.21
개명사의 칠월  (0) 2007.07.18
개명사의 풍장소리  (0) 2007.07.18
당장 합시다.  (0) 2007.07.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