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4월 7일 화요일
서울금강불교대학 불교학과 2학년
광도 스님 강의 내용 요약노트
1. 여행에서 챙겨야 할 것은 옷이지만, 그 보다 마음을 챙기는 것이 중요하다.
공부하러 올 때는 옷을 단정히 하고 오는 것이 예의-단추를 잠그는 일, 되도록 정장을 입는 일 중요하다.
그 보다 경건한 마음가짐으로 출석하라.
2. 관문사 참배 예절
1)7층 법당 대불보전, 4층 옥불보전 참배
2)신을 가즈런히 놓고 부처님께 등 보이지 않게 드나든다. 오른 발이냐 왼 발이냐는 그 이치를 생각할 것
3)법당의 주불께 합장 반배. 다른 보초 보살 등은 자유
4)절은 그 하는 대상과 이유있어야 한다.
5)부처님께 3배하는 이유는 불법승에 귀의하므로 3배
6)천태종 큰 스님께도 3배, 기타 스님께는 1배하는 것이 원칙
7)합장 반배 후 3배
8)절은 무릎 먼저꿇고 오른 손 부터 대고 이마를 발 높이 까지 만큼 숙인다.
아픈 사람은 손 부터 짚어도 되고, 이마는 땅에 대는 것 보다
나의 가장 높은 이마를 상대의 가장 낮은 발에 대면 된다.
이마를 짚은 나의 손등에 대면 무난
9)법당에서 나만 혼자서 오래하지 마라. 다른 사람들도 배려해라.
불상의 정면에서 절하지 말고, 절 하는 사람 앞에서 절 하지 말고 절 하는 사람 앞으로 안 다니는 것이 예의
10)법당에서 정숙해라.
법당은 부처님이 설법하시는 곳이므로 떠들어서는 안되므로 불필요한 말 삼가야.
절 하고 3보 뒤로 나와 걸어나가라
11)관음정진하는 이유
대조사님 가르침 따르는 일
관세음보살의 효험(많은 경전이 배경. 법화경 보문품에)
불, 물, 나찰, 칼, 아귀, 수갑, 족쇠, 도적, 성냄, 어리석음으로 부터 자유로워짐, 득남 득녀의 효험
http://k.daum.net/qna/openknowledge/view.html?qid=2c2G1를 참조
어느 때 무진의(無盡意)보살이 부처님께 여쭈었다.
『부처님, 관세음보살은 무슨 인연으로 관세음보살이라 합니까?』
부처님이 말씀하셨다.
『한량없는 백천만억 중생들이 여러 가지 괴로움을 당할 때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듣고 한마음으로 그 이름을 부르면 관세음보살은 곧 그 음성을 듣고 그들을 다 해탈케 하는 것이오.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지니는 이는 설사 큰 불속에 들어가도 이 보살의 위신력(威神力)으 로 인해 불이 그를 태우지 못합니다. 큰 물에 떠내려 가더라도 그 이름을 부르면 곧 앝은 곳에 이르게 됩니다. 진귀한 보배를 얻으려고 큰 바다에 들어갔다가 폭풍으로 나찰(羅刹)의 나라에 표착했을 때 그 가운데 한사람이라도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부르는 이가 있으면 여러 사람들이 모두 나찰의 난을 벗어날 수 있을 것이오.
또 어떤 사람이 화를 입게 되었을 때 관세음보살을 부르면 그들이 가졌던 흉기가 부러져서 화를 면하게 될 것이오. 삼천대천세계에 가득 찬 야차나 나찰들이 와서 사람들을 괴롭히려 하여도 관세음보살 부르는 소리를 들으면 이 악귀들은 해치기는 커녕 흉악한 눈으로 바라보지도 못할 것이오. 또 어떤 사람이 죄가 있든 없든 손발이 쇠고랑에 채워지고 몸이 사슬에 묶였더라도 관세음보살을 부르면 모두 다 부서져 곧 벗어나게 될 것이오.
진귀한 보물을 가진 상인들이 도적떼가 들끓는 험한 길을 지나갈 때 그 중에 한 사람이「무서워하지 말고 지극한 마음으로 관세음보살을 부르시오. 이 보살은 중생들의 두려움을 없애 주니 그 이름만 불러도 도적들의 재난을 면하게 됩니다」라고 말했소. 이 말을 들은 여러 상인들이 함께 소리내어
「나무 관세음보살」하고 그 이름을 부르면 곧 재난을 면하게 될 것이오.
관세음보살의 위신력은 이와 같이 헤아리기 어렵소. 음욕이 많은 중생이 항상 관세음보살을 생각하고 공경하면 곧 그 음욕을 버리게 될 것이오. 미워하고 성내는 마음이 많더라도 항상 관세음보살을 생각하고 공경하면 곧 성내는 마음을 버릴 수 있고, 업장이 두터워 어리석더라도 항상 관세음보살을 생각하고 공경하면 곧 어리석음을 버리게 될 것이오.
관세음보살은 이와 같이 큰 위신력이 있어 이롭게 하니 중생들은 항상 마음으로 관세음 보살을 생각해야 하오. 어떤 여인이 아들낳기를 원하여 관세음보살께 예배하고 공경하면 복 덕과 지혜있는 아들을 낳을 것이며, 딸 낳기를 원하면 단정하고 잘 생긴 딸을 낳을 것이오. 그는 전생에 덕의 종자를 심었으므로 모든 사람의 사랑과 존경을 받게 될 것이오.
이와 같이 관세음보살을 공경하고 예배하면 복이 있을 것이니 중생들은 모두 관세보살 의 이름을 받들어야 합니다.』
3. 천태지자
1)말띠, 538년에 태어남
2)7세 때 모친과 사찰에 가서 스님의 보문품 읽는 것을 듣고 그자리에서 외워 - 관음신앙 시작
3)16세 때 부모 잃고 18세 때 출가, 법화3매. 천태산에서 대각 성취. 실체 깨닫고 3제원융
4)일념삼천일심삼관(一念三千一心三觀)
5)관음참법으로 병 고쳐- 중국 황제의 스승
. 6)삼보 - 평생을 관음신앙 실천
나무아미타불(불)
나무마하반야바라밀(법)
나무관세음보살(승)
7)고려 때 우리나라에 종단으로 천태종 설립
8)1967년 상월원각대조사님이 천태종 등록, 천태종 중창
4.상월원각대조사님
1)관음신앙
2)1911년 강원도 삼척에서 태어나심 신해생
3)15세 때 출가
4)삼태산(三台山) 폭포아래서100일동안수행
좁쌀 7되, 신묘장구대다라니, 여치의 상처, 부동의 자세로
5)전국의 환자 병 치료 1945년 35세 때
1일 700명 넘게
천수대다라니 정진, 관음정진
1년 후 제자 모아서 수행정진. 구인사 절 지어 계속 정진
6.25 때 마곡사 인연
대각성취 성도일-1951년 12월 28일(41세) - 이후 3일간 설법
(지자대사 37세, 원효 41세, 석가 35세에 대각이룸-대개 중년에 깨달음)
중생제도-꿈속에 나타나셔서 영험 발휘-선전. 2백만 넘는 천태신도
사례 무궁 무진
1972년 관음주송 하라는 설법
1973년 100만 독송법 설법 (百萬, 白滿)
(100일간 4 시간씩 관음독송 하면 만독가능)
(1만 독 의 숫자가 중요한 게 아니라 마음이 청정해야 함)
밤 새워 관음 주송하는 게 옳은 불교다.
1974. 4. 27 열반 - 발보리심(發菩提心)하라 는 마지막 말씀
5.기도와 일
1)인도 석굴;몇 백년 걸쳐서 조성
낮-바위 속의 부처님 조각
밤-마음 속의 부처님 조각
한쪽에 치우쳐서는 안 돼
2)목적은 성불
일심상청정(一心常淸淨)
3) 집에 있는 부처님 잘 모시고 절에 나오라
집에 계신 부모님과 배우자
4)깨끗한 마음이 보리심이요 자비심이다.
5)참회
6)지혜
7)기도하는 마음
6.불교경전-교도향진(敎道向眞)
불교경전은 진리로 가는 길을 가르쳐 줄 뿐이다.
기도하라
7.삼귀의례
불법승의 시작
불-양족존
법-이욕존
승-중중존
삼귀 하는 이유- 불제자 진위 구별
사부대중-출가한 남녀 수행승인 비구·비구니와 재가(在家)의 남녀 신도인 우바새(優婆塞:거사)·우바이(優婆夷:보살)를 통틀어
가리키는 말이며, 불교 교단인 승가(僧伽)를 이루는 기본 집단이다.
부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에 귀의
8.서원과 소원
서원;보살들의 소원, 생사 벗어난 것. .
부처님, 부처님, 부처님, 변함 없는 불제자가 되겠습니다.(과거 현재 미래의 부처님께 약속)
업장 소멸-과거 현재 미래, 내 것, 남의 것
서원은 꼭 이룸
지극한 마음
서원을 세우고 기도 시작
대승 보살이 세우는 것이 서원
사홍서원
① 중생무변서원도(衆生無邊誓願度):일체의 중생, 즉 생명체를 구제하기 위하여 깨달음의 피안(彼岸)에 도달하겠다는 맹세.
② 번뇌무진서원단(煩惱無盡誓願斷):다함이 없는, 인간의 그 많은 번뇌를 끊겠다는 맹세.
③ 법문무량서원학(法門無量誓願學):광대무변한 불타의 가르침을 모두 배워 깨닫겠다는 맹세.
④ 불도무상서원성(佛道無上誓願成):가장 존귀하고 그 이상 뛰어난 것이 없는 불도를 닦아 깨달음에 이르러 성불하겠다는 맹세이다.
사홍서원은 자비
자-즐거움을 주는 것(서원도, 서원단)
비-괴로움을 없애는 것(서원학, 서원성)
소원; 내가 살아있을 때 이루어 질 것, 내 살아 생전에 이루고자 하는 것
욕심을 버려라
하나를 이뤄라(한번에 많은 것을 이루려 마라. 하나씩 이뤄라
서원이나 소원에 너무 집착하지 마라
기도할 때 꼭 계율을 지켜라-바른 생활로 바른 법을 받아가라. 마음 자리 잘 지켜라(계율 잘 지켜라, 마음 챙겨라)
正-바를 정, 깨끗할 정
이루고자 하면 이루어진다
굳은 마음으로 서원 세워야
불제자로서 서원 가져라
'절 > 서울관문사(금불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홍 서강대 명예총장 특강 (0) | 2009.04.19 |
---|---|
4월 14일 박영제 교수님 강의 참고 자료 (0) | 2009.04.15 |
예불 (0) | 2009.04.05 |
3월 31일 한국불교사 (박영제 교수님) (0) | 2009.04.02 |
3월 27일 철야정진 (0) | 2009.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