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4월 14일 화요일
한국 불교사 (박영제 교수님)
1.의상과 선묘
의상대사는 잘 알려진 것처럼 당나라에서 공부하고 돌아온 해외 유학파이다.
의상대사가 당나라에서 공부하는 동안 그는 한 하숙집에 머물러 있었다.
그리고 그집엔 선묘라는 이름의 하숙집 딸이 있었다.
그런데 이 선묘가 그만 의상대사를 짝사랑하게 된 것이다.
사랑에 고민하던 선묘는 의상대사에게 자신의 사랑을 받아 달라 청하였다.
그러나 의상대사는 이미 중이 되기로 결심한 몸이었으므로 그녀의 사랑을 받아줄 수가 없었다. 그리고는 공부를 마치고 신라로 돌아가게 되었다.
의상대사가 신라로 돌아가는 배에 탔다는 소식을 들은 선묘는 그 길로 바다에 빠져 죽어 용이 되어 의상대사를 신라까지 무사히 모셨다고 한다.
그리고 의상대사가 부석사를 창건할 때 도적떼들이 몰려들어 절을 짓기가 어렵자,
선묘는 이번엔 커다란 바위로 변하여 바위를 공중에 띄워 도적들을 모두 물리쳤다고 한다. 다시 한 번 의상대사를 도운 것이다.
이 돌은 지금도 무량수전 뒤에 남아 이 절의 이름(부석 = 뜬돌)이 되었다.
그리고 죽어서까지 사랑을 베풀었던 선묘의 흔적은 선묘각이란 조그만 사당으로 남아있다.
http://www.pginsamsa.co.kr/zboard/view.php?id=pginsam_e&no=16 에서 옮겨옴
2. 불국사
http://www.bulguksa.or.kr/ 불국사 전각 배치도
《삼국유사(三國遺事)》 권5 <대성효 2세부모(大城孝二世父母)>조에는 경덕왕 10년 김대성이 전세(前世)의 부모를 위하여 석굴암을, 현세(現世)의 부모를 위하여 불국사를 창건하였다고 하였으며, 김대성이 이 공사를 착공하여 완공을 하지 못하고 사망하자 국가에 의하여 완성을 보았으니 30여 년의 세월이 걸렸다고 한다. 당시의 건물들은 대웅전 25칸, 다보탑 ·석가탑 ·청운교(靑雲橋) ·백운교(白雲橋), 극락전 12칸, 무설전(無說殿) 32칸, 비로전(毘盧殿) 18칸 등을 비롯하여 무려 80여 종의 건물(약 2,000칸)이 있었던 장대한 가람의 모습이었다고 전한다.
3. 석불사
석굴암은 신라 경덕왕 10년(751)에 당시 재상이었던 김대성이 창건을 시작하여 혜공왕 10년(774)에 완성하였으며, 건립 당시에는 석불사라고 불렀다.
경덕왕은 신라 중기의 임금으로 그의 재위기간(742∼765) 동안 신라의 불교예술이 전성기를 이루게 되는데, 석굴암 외에도 불국사, 다보탑, 석가탑, 황룡사종 등 많은 문화재들이 이때 만들어졌다.
토함산 중턱에 백색의 화강암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석굴을 만들고, 내부공간에 본존불인 석가여래불상을 중심으로 그 주위 벽면에 보살상 및 제자상과 역사상, 천왕상 등 총 40구의 불상을 조각했으나 지금은 38구만이 남아있다.
석굴암 석굴의 구조는 입구인 직사각형의 전실(前室)과 원형의 주실(主室)이 복도 역할을 하는 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360여 개의 넙적한 돌로 원형 주실의 천장을 교묘하게 구축한 건축 기법은 세계에 유례가 없는 뛰어난 기술이다.
석굴암 석굴의 입구에 해당하는 전실에는 좌우로 4구(軀)씩 팔부신장상을 두고 있고, 통로 좌우 입구에는 금강역사상을 조각하였으며, 좁은 통로에는 좌우로 2구씩 동서남북 사방을 수호하는 사천왕상을 조각하였다.
원형의 주실 입구에는 좌우로 8각의 돌기둥을 세우고, 주실 안에는 본존불이 중심에서 약간 뒤쪽에 안치되어 있다.
주실의 벽면에는 입구에서부터 천부상 2구, 보살상 2구, 나한상 10구가 채워지고, 본존불 뒷면 둥근 벽에는 석굴 안에서 가장 정교하게 조각된 십일면관음보살상이 서 있다.
원숙한 조각 기법과 사실적인 표현으로 완벽하게 형상화된 본존불, 얼굴과 온몸이 화려하게 조각된 십일면관음보살상, 용맹스런 인왕상, 위엄있는 모습의 사천왕상, 유연하고 우아한 모습의 각종 보살상, 저마다 개성있는 표현을 하고 있는 나한상 등 이곳에 만들어진 모든 조각품들은 동아시아 불교조각에서 최고의 걸작품으로 손색이 없다.
특히 주실 안에 모시고 있는 본존불의 고요한 모습은 석굴 전체에서 풍기는 은밀한 분위기 속에서 신비로움의 깊이를 더해주고 있다.
지극히 자연스러운 모습의 본존불은 내면에 깊고 숭고한 마음을 간직한 가장 이상적인 모습으로 모든 중생들에게 자비로움이 저절로 전해질 듯 하다.
석굴암 석굴은 신라 불교예술의 전성기에 이룩된 최고 걸작으로 건축, 수리, 기하학, 종교, 예술 등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더욱 돋보인다.
현재 석굴암 석굴은 국보 제24호로 지정되어 관리되고 있으며, 석굴암은 1995년 12월 불국사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음. http://kin.naver.com/detail/detail.php?d1id=11&dir_id=110101&eid=lkA/4DROPYxJ/H0FbnkubLrqyKq1yTws&qb=7ISd6rW07IKs&enc=utf8&pid=fPRqldoi5TNssuCRe04sss--137038&sid=SeUjs4sV5UkAAFANJbM
4. 성덕대왕 신종
국보 제29호, 경주 국립박물관 소장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가장 큰 종으로 높이 3.75m, 입지름 2.27m, 두께 11∼25㎝이며, 무게가 약 25톤에 달한다.
신라 경덕왕이 아버지인 성덕왕의 공덕을 널리 알리기 위해 종을 만들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그 뒤를 이어 혜공왕이 771년에 완성하여 성덕대왕신종이라고 불렀다.
이 종은 처음에 봉덕사에 달았다고 해서 봉덕사종이라고도 하며, 아기를 시주하여 넣었다는 전설로 아기의 울음소리를 본따 에밀레종이라고도 한다.
종의 맨 위에는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音筒)이 있는데, 이것은 우리나라 동종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독특한 구조이다.
종을 매다는 고리 역할을 하는 용뉴는 용머리 모양으로 조각되어 있다.
종 몸체에는 상하에 넓은 띠를 둘러 그 안에 꽃무늬를 새겨 넣었고, 종의 어깨 밑으로는 4곳에 연꽃 모양으로 돌출된 9개의 유두를 사각형의 유곽이 둘러싸고 있다.
유곽 아래로 2쌍의 비천상이 있고, 그 사이에는 종을 치는 부분인 당좌가 연꽃 모양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몸체 2곳에는 종에 대한 내력이 새겨져 있다.
특히 종 입구 부분이 마름모의 모서리처럼 특이한 형태를 하고 있어 이 종의 특징이 되고있다.
통일신라 예술이 각 분야에 걸쳐 전성기를 이룰 때 만들어진 종으로 화려한 문양과 조각수법은 시대를 대표할 만하다.
또한, 몸통에 남아있는 1,000여자의 명문은 문장뿐 아니라 새긴 수법도 뛰어나, 1천 3백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손상되지 않고 전해오고 있는 문화재로 앞으로도 잘 보존해야 할 것이다.
5. 선종
선종(禪宗)은 불교의 한 종파이다. 정려(靜慮)·좌선(坐禪)으로 내관(內觀)·내성(內省)하여 불성(佛性)을 찾고, 설교·문자를 떠나 즉시 불심(佛心)을 중생에게 전하는 종파이다.
기원은 석가가 영산회(靈山會)에서 말없이 꽃을 꺾은 데서 제자 대가섭(大迦葉)만이 그 뜻을 안 데 있다. 520년 달마(達磨)가 중국에 전하여 혜능(惠能)·신수(神秀) 등에 의하여 크게 발전하였다. 한국에 들어온 것은 784년(선덕왕 5) 당의 서당 지장(西堂知藏)에게서 법을 받아온 도의(道義)를 시조(始祖)로 하는 가지산문(迦智山門)을 비롯하여, 9산문이 성립되어 한창 번성했으나, 고려 때에는 점차 쇠퇴하였다. 고려 명종 때 불일보조(佛日普照)가 조계산(曺溪山)에 수선사(修禪寺)를 세우고, 정혜결사(定慧結社)를 설립, 일으켰으나, 그 뒤부터 승행(僧行)이 타락되면서 차차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고려 말기에 이르러 태고 보우(太古普愚)는 중국 호주 하무산(霞霧山)의 석옥 청공(石屋淸珙)의 법을 받아왔고, 나옹 혜근(懶翁惠勤)은 강서의 평산 처림(平山處林)의 법을 받아옴으로써 2파로 갈리었다. 그러나 나옹의 법계(法系)는 얼마 안 되어 없어지고, 태고의 법계만 지금까지 전해오고 있다.
선종의 목표로는 '이심전심(以心轉心)·견성성불(見性成佛)·불립문자(不立文字)·교외별전(敎外別傳)'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선종의 특징을 가장 단적으로 표현한 말이며, 이로써 선종이 선종 이외의 불교로서의 교종과는 가장 현저하게 다른 독자성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즉, 그것은 부처의 마음을 마음으로 전하고 본성을 구명함으로써 깨달음을 얻으며, 경전의 문자에 구애됨이 없이 3승 12부경(三乘十二部經) 이외에 별도로 부처의 마음을 전한다는 불심종(佛心宗)의 입장에 선 것이 선종이다. http://ko.wikipedia.org/wiki/%EC%84%A0%EC%A2%85_(%EB%B6%88%EA%B5%90)
'절 > 서울관문사(금불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월 21일 광도스님 강의 내용 복습 (0) | 2009.04.23 |
---|---|
박홍 서강대 명예총장 특강 (0) | 2009.04.19 |
4월 7일 광도스님 강의 내용 (0) | 2009.04.08 |
예불 (0) | 2009.04.05 |
3월 31일 한국불교사 (박영제 교수님) (0) | 2009.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