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여행/경상도

통도사

ih2oo 2007. 12. 29. 18:46

2007.12.27(목)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 통도사

  영축산 통도사를 다녀 오다.

 

  조계종 사찰 중 규모가 매우 큰 절이다.

  잠깐 보고와서 정리 하려니 매우 어렵다.

  언제 다시 가서 자세히 보고 느끼고 배우고 싶다.

 




(독수리 취 영취산인줄 알았는데 영취산이 아니고 영축산 통도사)





(통도사 대광보전)









(통도사 대웅전)





 

 























(통도사의 메주)



 


(통도사 옆길 냇가에 홀로 있는 저 새는?)

 

 

통도사

 

http://hompy.dreamwiz.com/hippoluck?url=bbs/myhome_bbs.cgi%3fb%3d9%26c%3dv%26n%3d28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셨다 하여
불보사찰(佛寶寺刹)이라 불리는 통도사는
경남 양산시 하북면 지산리에 자리하고 있다.

통도사는 흔히
'불지종찰(佛之宗刹)' 부처님의 으뜸 가는 사찰이요,
'국지대찰(國之大刹)' 나라의 큰절이라는
현판이 일주문에 걸려 있다.
이는 불교에서 소중히 여기는 삼보 중에서도
석가모니 부처님이야말로 불교 교단의 창시자요,
모든 중생의 스승으로서 불교의 중심을 이루기 때문에
그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통도사는 가장 성스러운 곳으로 받들어 지는 곳이다.

통도사가 위치하고 있는 취서산(鷲棲山)은 영축산(靈축山)이라고도 한다.
영축산은 석가모니 부처님이 <법화경> 등 많은 설법을 하신
인도 마가다 왕국의 수도 왕사성의 동쪽에 있는 영축산과 모양이 비슷하다 하여
그렇게 불린다고 한다.
이 산은 독수리가 날개를 펴고 앉은 모습과 흡사하다 하여
취서산이란 이름도 갖고 있다.

통도사는
서기 643년 신라의 대표적인 고승인 자장율사(慈藏律師, 590~658)에 의해 창건되었다.
자장율사는 6세기에 신라에 도입된 불교가 국가의 정신 사상으로 자리 잡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분이기도 한다.
신라 귀족인 진골 무림(茂林)의 아들로 태어난 스님은
부모가 세상을 떠난 후 인생의 무상함을 깨닫고 출가를 하였으며,
왕의 거듭되는 부름에도 산중에서 수행에만 전념했다고 한다.

서기 636년 제자들과 함께 당나라로 건너간 스님은
중국의 3대 명산 중의 하나인 산서성 청량선과 장안 남쪽의 종남산 등에서
수행을 하셨다고 전해진다.
당 태종으로부터 후한 대접을 받는 등 스님을 찾아오는 사람들이 구름 같이 몰려드는 등
중국에서 이름을 크게 떨치던 스님이 신라로 돌아온 것은
643년 선덕여왕의 청에 의한 것이다.
이 때 자장율사는 부처님이 친히 입으셨던 가사와 사리, 패엽경(貝葉經)을 모시고 귀국하여
가장 먼저 사리를 봉안한 곳이 바로 통도사였다.

통도사 창건된 것은 자장율사가 당나라 유학에서 돌아온 선덕여왕 12년(643)이다.
선덕여왕은 자장스님이 부처님의 친착가사와 사리를 가지고 귀국하자
진흥왕 3년(549) 양나라에서 보내온 사리와 함께 이곳에 봉안하도록 하였는데,
이것이 통도사의 시초라고 한다.

통도사의 절이름은
'만법을 통달하여 중생을 제도하라(通諸萬法度濟衆生)'의 머릿글자에서 따왔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의 통도사가 세워지기 까지는 적지 않은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
통도사의 창건설화를 살펴보면 자장스님이 처음 절을 세우려고 할 때
이곳은 큰 연못이 있었고 아홉 마리의 용들이 살고 있었다고 한다.
스님은 연못을 메워 절을 짓고자 하였는데 절을 짓자면 용들을 다른 곳으로 보내야만 했다.
스님은 신력(神力)으로 여덟 마리의 용들을 제도해 하늘로 승천시키고
나머지 한 마리는 이곳에 남아 사찰을 지키겠다고 하여
작은 연못을 만들어 그곳에 살도록 했다고 한다.

이곳이 지금의 구룡지로 대웅전과 삼성각 사이에 있는 작은 연못으로
구룡지(九龍池)라고 불린다.
구룡지를 메우고 이곳에 통도사가 창건되자 자장율사는 계단을 세우고
사방에서 찾아오는 사람들에게 부처님의 계법(戒法)을 설했다고 한다.
이로부터 신라는 비로소 계율을 존중하고 불법을 바르게 믿는 나라가 될 수 있었다.

통도사를 '불지종가(佛之宗家)'라고 하고
자장스님을 율사(律師)라고 부르는 까닭도 여기에 있는 것이다.

통도사는 꾸준히 사세를 확장하여 고려시대에는 사찰을 중심으로
네 군데에 사유지의 경계를 표시하는 국장생석표(國長生石標)를 세울 만큼 번창하였다.
그러나 통도사는 국가의 변란이 있을 때마다 수난을 겪어야 했다.
그것은 이곳이 바로 불교 신앙의 최고 보물인 사리를 봉안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임진왜란 때에는 절이 거의 불타고 사리를 모신 금강계단 만이 살아 남았다고 한다.
하지만 통도사에 모신 사리를 향한 뜨거운 불심은 다시 절을 중창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보물 제144호로 지정된 금강계단 앞의 대웅전은
인조 23년(1645) 우운(友雲)화상에 의해 중건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대웅전 내부에는 사리를 모신 절인 이유로 불상이 없고
대신 거대하고 화려한 수미단(須彌壇)이 좌대를 떠 받들고 있다.

통도사는 지금도 많은 보물을 간직하고 있으며
통도사 역사의 대부분은 사리신앙을 지키고 가꿔온 기록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신라의 자장율사가 사리를 봉안하면서 시작된 통도사의 역사는
1300년을 관통하는 전통이요, 우리 나라 불교의 자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자랑을 지키기 위해서는 남다른 고통을 감수하기도 하였다.

통도사의 사리는 워낙 귀한 보물이라
사람들이 항상 사리함을 열어 친견하기를 원했었던 모양이다.
<삼국유사>의 기록에 의하면 옛날 조정의 높은 벼슬을 하는 사람이 와서
계단을 예배하고 사리를 친견하기 위해 함을 열어 보았다고 한다.
처음에는 긴 구렁이가 석함을 지키고 있었으며, 두 번째는 큰 두꺼비가 지키고 있었다고한다.
그 후부터는 감히 이 함을 열어보지 못했다고 전해진다.

그 후 산장군 김이생(金利生)과 시랑 유석(庾碩)이 고종의 명을 받아 낙동강을 지휘할 때
왕이 하사한 기를 가지고 절에 와서 사리함에 예배를 하고,
사리를 친견하기를 원했다고 한다.
그러나 김이생과 유석은 군사들을 시켜 사리함의 뚜껑을 열게 하였는데
이때 함이 조금 상했다고 한다.
그러자 유석이 수정함을 기부하여 사리를 다시 봉안하였다고 한다.

그 후에도 통도사의 사리는 수 많은 수난을 당하였다.
통도사의 사리가 이처럼 수난을 당한 것은 오로지 무지한 사람들의
세속적인 욕심의 결과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은 '통도사의 사리가 금은보화보다 더 훌륭한 보물'이라는 말이
무엇을 뜻하는 것인지도 몰랐다고 한다.
다만 금은보다 더 좋은 물건이라니 그것이 탐이 났을 것이다.

그러나 사리는 믿음의 보물이다.
믿음이 있는 사람에게는 반드시 영이(靈異)를 나타낸다.
<통도사사적기>는 그 신령한 이적들을 다음과 같이 전하고 있다.

첫째는 사부대중 가운데 누구라도 사리에 예배하거나 공양하면
원내에 머물고 있는 사람들이 이상한 향기를 맡고 감탄한다고 한다.

둘째로는 인연의 유무에 따라 사리가 나타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다고 한다.
사리의 크기나 색깔은 믿음의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고 하는 것이다.

셋째로는 믿음이 없는 자가 오면 맑은 하늘에서 갑자기 비가 내리거나,
혹은 비가 내리다가 갑자기 개이기도 한다고 한다.
검은 구름이 깔리고 우뢰를 내며 나무를 쓰러뜨리기도 한다고 한다.

넷째는 사람들이 참배를 하기 위해 동구로 들어오면
석종에서 오색광명이 비춰 산과 골짜기를 환하게 밝히기도 한다.

다섯째는 향과 초로 공양하고 부지런히 정진하면
계단 반상에 모래알 같은 변신(變身) 사리가 무수히 나타나기도 한다고 한다.

여섯째는 몸과 마음이 부정한 자가 겸손하지 않고 소요를 일으키면
먼저 원내에 비위를 상하게 하는 고약한 냄새가 나고 그는 곧 광란하거나 미치게 된다고 한다.

일곱째는 구룡지 반석 아래에 푸른 달팽이가 붙어 있는데
사람들이 사리탑을 참배할 때는 흩어졌다가 사람들이 가면 다시 나타난다고 한다.

여덟째는 금강계단 위로는 일체의 날짐승들이 날아다니지 않으며
그 위에 똥과 오줌을 누지 않는다고 한다.

이러한 믿음들이 사람들로 하여금 기꺼이 재산을 공양해 사리탑을 세우고
적멸보궁을 장엄하게 하였을 것이다.
오늘날 우리가 통도사의 적멸보궁과 사리탑을 친견할 수 있는 것은
바로 이러한 믿음의 역사가 있기 때문이다.
(통도사 홈페이지 :
http://www.tongdosa.or.kr)

 

 

 

 

728x90

'국내여행 > 경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례 사성암  (0) 2009.03.19
문무대왕릉  (0) 2007.12.29
불국사  (0) 2007.12.29
대능원(大陵苑)  (0) 2007.12.29
호텔 경주교육문화회관  (0) 2007.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