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11월 4일 화요일
음식을 조심하자
공주 산성동 정연채 내과 의원에서의 진료 결과
약 보다 음식 조절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식사 후에 과실 먹는 걸 삼가고 먹으려면 간식으로 조금만 먹자.
매 식사는 골고루 먹자.
사탕이나 꿀 등 단 것을 삼가자.
고기를 즐기되 돼지고기의 비개 등 기름기를 먹지 말자.
원장이 준 참고 자료를 소개한다.
신야 박사가 권하는 건강 식사법 http://blog.naver.com/ls04/100056651313
① 매끼 식사 한 시간 전에 물(가급적 환원수) 500㏄를 마셔라.
② 식물성 식품과 동물성 식품을 85 : 15 비율로 섭취하라.
③ 식물성 식품은 곡물을 약 50%, 과일과 채소를 35~40% 비율로 섭취하라.
곡물은 현미처럼 도정하지 않은 무농약 농산물을 먹어라.
④ 동물성 단백질은 육류보다 어류를 통해 섭취하되 가급적 흰 살 생선을 먹고,
붉은 살 생선은 산화하기 쉬우므로 먹을 때는 아주 신선한 것만 먹어라.
⑤ 우유나 유제품은 가급적 삼가라.
⑥ 기름을 사용한 음식을 가급적 삼가라.
⑦ 꼭꼭 씹어 먹고 소식하라.
보통 음식은 35~40회, 아주 딱딱한 음식은 70~75회씩 씹어 삼켜라.
유의사항 http://blog.paran.com/tjizqb0c/27561037
하루 세 끼 소식을 규칙적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저열량 간식을 섭취할 때는 오랫 동안 천천히 씹어먹는다.
적어도 하루 두번 10-30분씩 운동하는 습관을 가진다. 조금이라도 더 걷고 계단을 오르내린다.
고영양가인 자연식품 즉, 현미류, 통곡식, 콩 및 두부, 채소와 과일, 해조류,생선, 껍질 벗긴 닭, 계란, 탈지유, 견과류를 골고루 선택하되 동물성 지방은 삼간다.
현미 잡곡밥을 주식으로 1/2-2/3공기 정도 먹고 반찬을 싱겁게 하여 특히 채소,해조류를 많이 먹어 만복감을 준다.
간식은 당근, 오이 같은 생채소, 무가당 요구르트, 저지방 우유, 과일, 땅콩(12알),호도(1개), 해바라기씨나 호박씨(1큰술), 찐옥수수 중 선택하며. 달고 기름진 가공식품의 섭취를 피한다.
고칼로리 음식은 저칼로리 음식으로 대체하여 칼로리를 줄인다. 튀기거나 볶는 것보다 찌는 요리법을 선택하고, 설탕과 기름을 최소한 줄여서 요리한다.
물은 기상직후 또는 식사 사이에 하루 6-8컵 이상을 마신다.
외식을 피한다. (외식시에는 기름이 많은 음식을 피하고 채소가 많이 함유된 메뉴를 선택)
매번 신선한 채소 반찬을 충분히 먹는다.
잠자기 3-4시간 전부터 안 먹는다.
http://blog.naver.com/hsye52.do
올바른 식습관은 모두 오늘부터 실행할 수 있는 간단한것들이다. 이대로만 따라하면 특별히 다이어트를 하지 않아도 한달에 1kg은 쉽게 빠진다. 얼마큼 매일 꼼꼼하게 실천하는가에 따라 다이어트에 상당한 차이가 생기므로 열심히 실천하도록! | ||||||||||||||||||||||||||
1. 무슨 일이 있어도 절대 야식은 하지 않는다 2. 주식이 되는 밥을 거르지 않고 먹는다
너무 빠른 속도로 먹게 되면 미처 혈당이 올라오기 전에 과식을 해버리고 말아 식욕 중추가 제때에 먹는 것을 중지하라는 명령을 내리지 못합니다. 반대로 천천히 먹으면 혈당이 올라감과 동시에 만복감이 나타나, 적당량으로 식사를 끝낼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빨리 먹는 습관을 고치는 것만으로도 다이어트에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빨리 먹는 습관이 도무지 고쳐지지 않는다면, 다음의 3가지 규칙을 지켜보도록 합니다. 첫째, 입안에 있는 음식을 완전히 삼킨 다음, 음식을 집는다. 둘째, 식사 시간에 잠깐씩 먹는 것을 멈추고 잠시 그냥 앉아 있는다. 셋째, 음식을 적어도 20번씩은 씹은 후 삼킨다.
|
냄새가 좀 나서 그렇지..... (0) | 2008.11.09 |
---|---|
감 따기도 어렵군 (0) | 2008.11.06 |
결혼식있던 오후 (0) | 2008.11.02 |
부러운 주한님 (0) | 2008.10.30 |
하루 쯤 조심하라고. (0) | 2008.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