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10월 27일 월요일
불교학 개론 (권기종 교수님)
날씨가 선선한 게 아니라 쌀쌀한가보다. 아내는 마스크를 준비했고
두툼한 겉옷을 입었다.
오늘도 14:45 발 서울(남부터미널) 행 버스로 상경
졸린 눈으로 오늘의 강의를 들었다.
오늘 들은 내용의 욧점 정리
반야바라밀다(般若波羅密多)
반야 (般若)-모든법의 자성이 공함을 보고 사물의 실상을 직관하는 지혜를 가리킨다.
- 지혜, 일체공(一切空), 공지(空智)
반야바라밀다(般若波羅密多)는 지혜가 피안에 이른 것(智到彼岸), 또는 지혜의 완성
공역부공(空亦復空)-일체는 공이요, 공이라는 것도 또한 공이다.
낙엽을 쓴 빗자루의 자리도 쓸어야
집착하지 않는 삶
무분별, 무집착한 삶
보살(菩薩)과 서원(誓願)
대승불교-보살불교
보리살타를 줄여서 보살(菩薩)
보리는 깨달음
살타는 중생
보살은 깨달음을 구하는, 또는 깨달음 속에 있는 중생이라는 말
보살이 깨달음을 구하는 것은 아라한이 열반을 구하는 것과는 다르게
보살은 생사와 열반, 번뇌와 보리, 나와 남 등의 모든 분별을 떠나 평등한 수행을 할 뿐만 아니라
궁극적인 경계를 얻는 일도 없다.
따라서 보살의 수행은 아라한과 달리 중생계에 회향(廻向)될 수 밖에 없다.
모든 보살이 국토를 정화하고 중생을 제도하고자 커다란 서원을 세움은 이 때문이다.
총원(總願) - 사홍서원(四弘誓願)-불교의식
별원(別願) - 개별적으로 달라
보살의 수행을 흔히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한다(上求菩提 下化衆生).”
는 말로 표현한다.
원(願)-이타(利他)
욕(慾)-이기(利己)
보살-원생(願生)
중생-업생(業生)
서개(誓鎧)-서원의 갑옷을 입는다.
우면동 이면
Woomyeon-dong 이라고 써야 하지 않냐는 권기종 교수님의 말씀에 공감했으나
아니다.
Umyeon-dong 이라고 쓴 것이 맞다.
로마자 표기 일람표
http://cafe.daum.net/nowool05 에 의하면
1 단모음
ㅏ |
ㅓ |
ㅗ |
ㅜ |
ㅡ |
ㅣ |
ㅐ |
ㅔ |
ㅚ |
ㅟ |
a |
eo |
o |
u |
eu |
i |
ae |
e |
oe |
wi |
구리 Guri
구미 Gumi
울릉 Ulleung 으로 표기됨을 알 수 있었다.
(관문사 7층 대불보전 에서 본 우면산. 단풍이 들기 시작한 모습)
'절 > 서울관문사(금불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8년 11월 3일 권기종 교수님 강의 복습 (0) | 2008.11.04 |
---|---|
불교 역사의 이해 (08.10.27) (0) | 2008.10.28 |
불교 역사의 이해(10.20) (0) | 2008.10.22 |
불교학개론 (081020) (0) | 2008.10.22 |
불교사 노트 (2008.10.13) (0) | 2008.10.16 |